본문 바로가기
티끌 모아 티끌 만들기

지역화폐 캐시백과 할인형 중 혜택이 더 큰 형태는?

by 엉클리암 2023. 2. 12.
728x90

지역화폐는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지자체에서 발행하는 화폐입니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지역화폐를 발급하여 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요즘 시대에는 치명적일 수 있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지역화폐 결제 금액은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 대상이 되기도 하므로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습니다.

 

지역화폐-썸네일

그런데 최근 정부가 지역화폐 예산을 삭감했다고 합니다. 덕분에 많은 지자체에서 할인율을 축소하거나 일부는 화폐 발행 자체를 중단했다고 합니다. 이전에는 월 한도 30~50만 원에 할인율 5~10%였으나 예산 삭감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조정이 불가피했습니다. 한도가 50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줄거나 할인율이 10%에서 5%로 줄어든 지역들을 심심찮게 찾을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른 차이는 할인율에만 있지 않습니다. 지역주민들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목적은 같지만 지역마다 제공하는 혜택의 종류에도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역마다 할인형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캐시백으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할인이란?

애초에 충전할 때 할인된 금액으로 충전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만 원을 충전하고 싶은데 할인율이 10%라면 지역화폐에는 만 원이 충전되지만 실제 내 통장에서 빠져나가는 돈은 9,000원입니다.

 

캐시백이란?

일단 결제를 하고 나면 그 후에 캐시백 형태로 돌려주는 것입니다. 할인형과는 혜택이 지급되는 시기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마찬가지로 만 원을 사용하고 10% 캐시백을 지급한다고 합시다. 만 원을 결제하고 나면 바로 캐시가 1,000원이 생기는 형태입니다. 이 1,000원은 보통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뭐가 더 좋을까?

두 가지의 차이는 아시겠지요? 그런데 얼핏 보기에는 어떤 게 더 혜택이 큰 건지 조금 헷갈립니다. 분명 같은 10% 혜택이긴 한데 혜택 방식이 다르니까요.

간단하게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편의상 내가 결제하고 싶은 금액이 11,000원이라고 하겠습니다.

할인형의 경우 11,000원의 90%인 9,900원을 충전해야 할 겁니다. 그렇다면 캐시백의 경우는요? 일단 10,000원에 캐시 1,000원을 추가해서 결제한다고 합시다. 결제 직후 캐시 1,000원이 들아올 겁니다.

즉, 11,000원을 결제하는데 필요한 금액은 할인형과 캐시백에서 각각 9,900원과 10,000원이 되는 셈입니다.

할인율이 같다면 캐시백보다는 할인형의 지역화폐가 조금 더 유리하겠습니다. 물론 그 차이는 1%도 안 될 만큼 아주 미미하긴 합니다. 금액이 커질수록 그 차이도 커지긴 하겠지만 애초에 지역화폐는 달마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의 한도가 정해져 있는 만큼 아무리 해도 기껏해야 몇 천 원 정도의 차이입니다. 할인율이 적어지면 그만큼 차이도 더 줄어들 테고요.

물론, 기본적인 형태에 따른 차이도 있긴 합니다. 할인형의 경우 즉시 혜택을 받는 셈이지만 캐시백은 엄밀히 말해서 추가적인 지출이 있기 전까지는 혜택을 받지 못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상, 지역화폐가 할인형이냐 캐시백 형태냐에 따른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